정서 및 행동장애아동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들이 보이는 문제
- 장기간 결석하거나 지각한다.
- 수업 중 큰 소리로 떠든다.
- 수업 중 돌아다닌다.
- 과제를 완성하지 않는다.
- 교사에게 불손하다.
행동분석
Haring & Kennedy(1996) 행동의 세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Behavior is funcional. (행동은 기능이 있다.)
2. Behavior is part of a larger environment of events.(행동은 큰 사건 중 하나이다.)
3. Behavior is quantifiable and can be systematically studied.(행동은 계량화 할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연구가 가능하다.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는
과제와 관련된 면,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관심의 종류와 빈도, 올바른 행동과 올바르지 않은 행동에 대한 명확성,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방식,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시기, 문제를 제시하는 빈도, 과제의 난이도 등 다양하다.
문제 행동이 갖는 의소소통 목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제(control) - 활동, 힘, 복수, 독립성, 자유, 조작
관심끌기(attention) - 수용, 소속감, 상호작용, 만족감, 칭찬, 관계, 우정, 성취
회피(avoidance) - 탈출, 외로움, 지루함, 실패에 대한 두려움, 미숙달, 방어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행동의 목적을 밝혀 문제행동을 감소, 제거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모든 활동을 기능행동분석(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이라고 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ABC 모델이다.
A는 선행자극(Antecedents)로 문제행동이 발생하기 바로 이전에 일어나는 사건이나 조건이다.
B는 행동(Behavior)로 한 개인이 나타내는 문제 행동이다.
C는 결과(consequences)로 문제행동이 일어난 후 주어진 결과이다.
기능성 평가 모형에서는 문제행동을 직접 촉발하지는 않지만 문제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여주는 생태 환경 요인도 고려한다.
E(ecological variable)→A→B→C
생태환경요인에는 문제행동 발생시간, 장소, 진행 중인 활동, 동석자, 물리적 환경이 해당된다.
ABC모델을 활용하여 문제행동에서 나타난 의사소통의 목적을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방안을 찾아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적 행동 수정에서는 행동의 목적 탐색에는 무관심하고 행동문제를 유지시키는 강화요인을 제거하거나 벌을 제공했다.
긍정적 행동지원을 하기위해서는 행동문제는 의사소통의 한 방법임을 인식하고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한다.
그리고 행동문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으로 대체해야 한다.
개인을 존중하는 접근 - 혐오자극 사용 억제,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요인과 후속 강화요인 탐색하여 조절 및 재배열
정상화된 접근 - 아동이 생활하는 일상적인 환경에서 제공
예방적인 접근 - 행동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을 피함
교육적인 접근 - 의사소통및 상호작용 기술을 가르침
개별화된 접근 - 개별화된 지원계획 제공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수립(예방)에서 순응행동을 이끌어내는 전략은 다음과 같다.
- 질문대신 직접 요청한다.
- 가까이에서 요청하고 요청 횟수를 제한한다.
- 부드럽지만 단호한 목소리를 사용한다.
- 요청 후 기다린다.(3~5초)
- 부적합한 행동을 멈추기를 요구하기 보다는 바람직한 행동을 시작하기를 요청한다.
- 부정적인 감정을 통제한다.
- 구체적, 설명적인 요청을 한다.('집중하자' 보다는 '손은 무릎에 놓고 나를 쳐다봐라' 등)
- 순응행동을 하면 즉시 강화하도록 한다.
긍정적 행동지원의 위기 관리에서는
- 행동문제의 전조가 보이면 분명한 시각적 촉진과 구체적 지시를 통해 재지도한다.
-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 교사가 화났음을 보이지 않늗다.
- 위협하지 말고, 소리지르지 않는다.
- 비난하지 않는다.
'교육에 관한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 - 지체장애 및 건강장애 (0) | 2015.12.16 |
---|---|
특수교육 - 자폐범주성 장애 (0) | 2015.12.16 |
특수교육 - 학습장애, ADHD (0) | 2015.12.16 |
특수교육 - 지적장애(정신지체) (0) | 2015.12.16 |
특수교육학개론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