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일상으로 초대/음악을 즐기는 사람

경토리,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 수심가토리 (+ 제주민요) : 음계와 특징

by that's fab 2019. 1. 23.
반응형

국악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토리입니다.

토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가면 여러가지 국악 곡을 만났을 때 어느 지역의 곡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경토리

경기도 + 충청도 지역 (서울, 경기, 충청 북부)

음계 - 솔라도레미

· 진경토리

 

· 반경토리

· 신경토리

특징

- 맑고 경쾌함

- 순차진행이 많음

- 가락이 부드럽고 음의 변화가 많다

- 한 글자에 음이 많이 붙음

- 긴음에서 떨어줌

해당 악곡

늴리리야, 풍년가 등

 

육자배기토리 

 

남도 지역

음계 - 미라시도

'' - 굵게 떨기

'' - 꺽어주기

'' -

특징

- 탁하고 걸걸함

- 굵게 떠는 소리, 꺽는 소리(시김새)

- 느린가락(애절함)

- 빠른가락(구성지고 멋스러움)

해당악곡

거문도 뱃노래, 둥당애 타령, 에농데농, 장장짚세기 등

 

메나리토리

동부지역(강원, 경상, 함경)

음계 - 미솔라도레

 

특징

- 라솔미, 레도라 (특징적인 하행 진행)

- 높게 지르거나 탄식하듯 읊조리는 창법

- 높은 음에서 점차 내려옴

- ''에서 잘게 떨어줌

해당악곡

쾌지나 칭칭나네, 밀양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신고산 타령, 도움소 등

 

수심가토리

 

평안도, 황해도

음계 - 레미솔라도

특징

- 길게 뻗다 , 탈탈 털면서 격하게 털어줌 (-도 사이)

- 낮은 음부터 높은 음으로 올라갔다 내려옴

- 매우 애절한 느낌

해당악곡

싸름, 금다래꿍, 수심가, 몽금포타령, 배따라기, 염불

 

제주민요

- 음계상 경기, 서도와 유사

- 한가지 조(토리)로 설명하기 어려움

- 음의 간격이 좁은 편

- 서정적, 맑은 목소리로 노래

- 오돌또기, 서우젯소리, 이야홍타령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