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관한 모든 것

교육과정 유형 -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

that's fab 2017. 11. 18. 00:38
반응형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으로 다양한 유형이 있다.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유형의 명칭만 보아도 어느정도 어떤 교육과정일지 감이 오지만 잠재적 교육과정과 영 교육과정은 어떤 교육과정일지 바로 감이 오지 않을 것 같아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한다.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에서 계획하지는 않았지만 학교 생활을 통해 학생들이 은연중에 가지는 경험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이 별개인 것은 아니다.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이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을 때 학생의 행동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계획한 바가 없기 때문에 문서화되지 않은 비공식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습 분위기, 교사와 학생 간 및 학생과 학생 간 인간관계, 교사의 인격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아 정의적 영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현대 교육에서는 지적 영역을 강조하지만 정의적인 면은 부족하다. 따라서 잠재적 교육과정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표면적 교육과정과의 비교

 - 표면적 교육과정은 학교의 계획적인 지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학교에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학생이 은연중에 학습하는 것이다.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 표면적 교육과정은 교사의 지적, 기능적 영향을 많이 받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은 교사의 인격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표면적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이론이나 지식의 경험이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 문화 풍토나 생활경험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 학습 시간 측면에서 표면적 교육과정은 단기적이며 일시적인 경향이 있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은 장기적, 반복적으로 배워 보다 항구성을 가진다.

 - 학습 내용 측면에서는 표면적 교육과정은 바람직한 내용만 포함하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도 포함하여 가르친다.

 

영 교육과정

아마 교육과정 유형 중에 명칭만 보고 어떤 교육과정인지 가장 유추하기 어려운 교육과정일 것이다. 

일단 위에서 다룬 잠재적 교육과정과 비교해보면 잠재적 교육과정은 결과에 중점을 두지만 영 교육과정은 표면적 교육과정(공식적 교육과정)에서 배제된 것에 중점을 둔다.

즉, 영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공식적 교육과정을 배울 때 놓치는 기회 학습으로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아 생기는 학습 결과로 볼 수 있다.

교육과정은 가르칠 내용을 미리 선택하여 계획하고 학생들에게 배울 기회를 마련한다. 하지만 일부러 특정 내용을 배제하거나 약화하여 학생들이 배울 기회를 놓치게 하는 경우 이에 해당한다.

교육과정은 선택과 배제 그리고 포함과 제외를 통하여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영 교육과정은 공식적 교육과정의 산물이다. 

 

 

반응형